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C-Sharp
- html
- html command
- CSS 문서표현
- 외부 CSS 파일 사용
- Kill
- HTML 요소 속성으로 CSS 적용
- html get post
- HTML 헤더에서 style 요소 사용
- CSS 문서 외형 정의
- csharp
- HTML5 form
- 마크업 언어
- html details
- html s del
- CSS 스타일 언어
- Process
- html ruby
- html input 요소
- html pubdate
- CloseMainWindow
- HTML5 새로운 텍스트 요소
- Close
- c#
- CSS 웹페이지 디자인 정의
- html datetime
- HTML5 서식
- html input 타입
- HTML5 문서 구조화
- HTML5
- Today
- Total
개발 STUDY - 1일1글작성
HTML5 를 알아보자. HTML5의 이해 본문
공부 환경 | |
-혼자 간단하게 웹 페이지를 만들어 보고 싶어서 시작 -퇴근 후 짬짬히 -느리지만 꾸준하게 할 예정 |
HTML이란?
모두가 한 번쯤은 들어봐서 대충 알듯이 Hyper Text Markup Language.
웹 문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본적인 웹 언어로 연산 기능 없이 단순히 컨텐츠를 표현만 해주는 언어이다.
웹 컨텐츠 중에서도 컨텐츠 구조를 지정하는 언어!
HTML 실행 구조
사용자 :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HTML 파일 요청
서버 : HTML 및 관련 파일 웹 브라우저에 전송
웹 브라우저 : HTML 언어 지시에 따라 콘텐츠 표시
웹 브라우저와 HTML5 히스토리
웹 브라우저 초기 : Netscape VS MS Internet Explorer 시장 점유율 전쟁
웹 브라우저끼리 기술과 표현 방법을 배타적으로 사용하여 호환성 결여되었다고 한다.
시장 점유율 전쟁은 MS사의 승리!
MS사에서는 웹 브라우저 개발 등한시하게 되고 다양한 웹 브라우저 등장하게 됨.
W3C(World Wide Web Consortium : 웹 표준 개발 기구) : XHTML 등장. HTML보다 엄격한 문법 제한.
향후 웹 표준으로 발전시키려 함 -> but 업계 지지 얻지 못함.
WHATWG(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oup)
: 웹 관련 업체들이 워킹 그룹을 만들어 활동. HTML5 탄생.
기존 HTML의 연장선이라는 의미로 HTML5라고 부름
W3C 에서도 XHTM2 개발 중단하고 HTML5를 인정하게 됨.
HTML5 의미
-이름에서 알 수 있듯 기존 HTML 기술과 호환성 유지
-엄격한 문법 강요하지 않음. 실용적
-컨텐츠와 표현의 완벽한 분리
-플러그 인 없이 웹 브라우저가 다양한 미디어 처리, 2D, 3D 처리. 동적 작동
-최신 웹 기술
ex)
- 지오로케이션 : 위치 정보 처리
- 웹소켓 : 웹 서버와 실시간 통신
- 웹스토리지 : 클라이언트 저장 공간 이용
- 웹워커 : 다중 프로세스 작업
웹 페이지 구성 삼대장
HTML, CSS, JavaScript
-HTML : 컨텐츠 구조 정의
-CSS : 컨텐츠 레이아웃과 표현 방식 정의
-JavaScript : 컨텐츠 작동 정의
DOCTYPE 지정하기
HTML 버전이 여러 개이고 웹 브라우저가 하위 호환성을 위해 여러 버전의 HTML 을 지원하기 때문에
HTML 문서에서는 DOCTYPE을 지정해줘야 함
브라우저에게 우리는 특정 버전의 HTML 파일이니까 잘 해석해서 표현해주세요~ 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!
HTML5는 DOCTYPE 어떻게 지정?
<!DOCTYPE html> 끝. 참 쉽죠?!
HTML 구조
기본 구조 형태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<head> 설정
body 처리 전 실행되어야 하는 설정 부분. HTML 파일의 메타데이터, 스크립트와 CSS 등이 위치
메타데이터 : 파일에 관한 정보를 가진 데이터. ex) 음원 파일의 앨범, 작사, 작곡 등 음원 정보.
-> HTML의 문자 인코딩, 설명, 키워드, 작성자, 저작권, 연락처, 작성일 등과 같은 정보
-> 메타데이터는 구글 등 검색 엔진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중요!
-> 문자 인코딩 : 정의하지 않을 경우 웹 브라우저 기본 설정 문자 인코딩으로 표시됨.
유니코드인 utf-8 사용 추천.
title (즐겨찾기나 북마크 저장 시 사용됨)
<body> 에는?
웹 브라우저에 표시할 내용. 끝!
내용은 모두 개인 공부 기록 용이기에 부족한 부분이나 내용상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.
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.
혹 잘못된 내용이 있을 시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.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5 - Table 구조화 (0) | 2020.06.08 |
---|---|
HTML5 - HTML5의 텍스트 관련 요소 (0) | 2020.06.07 |
HTML5 - 구조적 마크업 이해! HTML5의 기타 그룹 컨텐츠 요소와 전역 속성 (0) | 2020.06.06 |
HTML5 - 구조적 마크업 이해! HTML5의 그룹 컨텐츠 요소 (0) | 2020.06.05 |
HTML5 - 구조적 마크업 이해! HTML5의 섹션 요소 (0) | 2020.06.04 |